쉐도우수자전거길

쉐도우수 자전거 길: 여주 사적(史蹟) 탐방 <161016>

sanriro 2016. 10. 17. 18:43




쉐도우수 자전거 길: 여주 사적(史蹟) 탐방 <161016>

 

자전거 周遊山河-명성황후생가-남한강-신륵사 세종/효종 영릉(161016)

 

 

 

 

 


<신륵사 강월헌 0116>

 

코스:

이매역 ~ 경강선~ 여주역 - 교동로 - 여주대학/뒷산길- 캠퍼스- 세종로- 명성로- 명성황후생가 - 점봉천-연양천 - 강천보/남한강 - 폰박물관 - 여주대교 - 신륵사 - 여주대교 - 입암 - 효종대왕릉 - 세종대왕릉 - 입암 - 여주보/우장 - 천서리/막국수 - 이포보 - 개군레포츠공원 하자포교차로 - 공세리/고개 흑천 원덕역 (52km)

 

     

 

<경로>


 

 

1016일의 쉐도우수 자전거 길, 태릉동기 동호회와 함께 했고, 남한강을 다니며 수차 거친 곳이지만, 여주일대의 사적(史蹟)탐방 길은 역시 내가 디자인했기에 쉐도우수 자전거 길로 정리해 둔다.

 

여주까지는 824일 개통된 경강선 전철 이용. 이매역에서 탑승 47분 만에 여주역에 도착했다. 꿈의 라이딩 코스여서 엄청 몰려들 걸로 예상했던 바이커들이, 이날 비 예보 탓인지 한산했고 좌석도 휑하니 비었다.

 

여주역 광장 동쪽의 교동로를 타고 남쪽으로 달리다. 청송농장간판 3거리에서 좌측 샛길로 들어서면, 끝은 야산으로 이어지며 여주대학 쪽으로 더듬어 가면 가파른 경사를 올라 테니스장을 끼고 캠퍼스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인터넷 지도로 공부하면 이 코스가 여주역에서 명성성황후 생가를 통해 남한강으로 나가는 가장 빠른 길이니 무조건 들이댔던 것인데, 다행이 철망이나 울타리가 쳐지지 않아 계획한 길을 갈 수 있었다.

 

다른 대학교들처럼 역시 야산에 들어앉아 캠퍼스 전체가 언덕으로 이뤄져 있고 그래서 풍치가 좋다. 개구멍으로 들어가 정문으로 나온 형국이지만, 그 덕분에 우리가 여주대학의 존재를 실감했으니 학교 측에도 득이 될 것이란 생각.

 

정문에서 우회전 세종로를 타다 좌회전 명성황후 생가로 방향을 잡고 들어선다. 기념관과 생가만 둘러보고 나온다. 여기 얽힌 역사적 지식은 잘 아는 일. 특히 국력이 약하면 어떤 치욕적인 수모를 당하는지 누구보다 잘 아는 우리 친구들이니 그렇지 않겠는가?

 

생가 옆을 흐르는 점봉천은 중도에 연양천과 합쳐져, 남한강으로 흘러든다. 그 하천의 둑길을 달리면 남한강의 강천보를 만난다. 간식을 먹으려 한강문화관 매점 앞에 자리하며, 옆 좌리에 서울서 부산까지 자전거여행을 하러 온 싱가포르 부부가 있어, 이야기를 나누고 기념촬영도 함께 한다. 한국의 멋진 날씨와 자전거 여행길, 행복한 부부여행 등 서로서로 덕담을 나누면서.

 

강천보부터는 남한강 국토종주 자전거 길을 달린다. 이후로는 영릉 들머리 외에 자전거 길에 대한 새로운 정보도 필요 없다. 금모래은모래강변의 폰 박물관도 잠시 들렸고, 영월루를 돌아 여주대교를 건너, 신륵사에서 가을 정취를 맛본다. 둘러보는 사찰 본전에는 2017년 수능시험대박 기도 불자들이 줄지었고, 삼층탑 정자 강월헌에도 다른 관광객이 붐벼 소란스러웠으며, 아직 단풍이 덜해 아쉬웠긴 했지만.

 

여주대교를 되 건너 강변을 달리다. 삿갓바위 입암 설명 간판을 지나자마자. 나타나는 영릉 안내 이정표를 따라 근처 효종대왕 세종대왕 묘소를 돌아보고 다시 강변으로 나가 라이딩을 이어간다. 영릉 가는 길은 이정표 좌측 샛길 경사를 올라 영릉로를 만나고 횡단해 오던 방향의 반대로 가면 된다.

 

길은 먼저 효종대왕 능묘로 들어가고, 보고 나오면, 세종대왕 영릉 주차장 가는 길을 알리는 이정표가 있어, 이를 따르면 산길 고개를 넘어 세종대왕 능묘로 갈 수 있다. 세종대왕의 영릉(英陵)은 자주 찾지만, 동음(同音) 효종대왕의 영릉(寧陵)은 많이들 찾지 않는다. 지난 927일 다른 모임의 야유회를 주도해, 명성황후생가와 이곳을 찾아 해설도 들었던 나로선 의미가 작겠지만, 친구들을 안내해 자전거로 다시 찾아보니 한편으로 새롭기도 하다.

 

여주보에 이르니,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우장을 갖추고 여주보를 동편으로 건너는데 가랑비의 수준을 넘는다. 이포대교에 이르러 천서리막국수 촌에서 늦은 점심을 하고, 이포보에서부터 다시 라이딩에 들어가, 개포레포츠공원을 거쳐, 양평방향 후미개고개 넘는 강변 자전거 길을 버린다. 이전에 타본 곳이기도 하지만 시간절약을 위해서다. 하자포 교차로에서 좌회전 개군로를 잠시 타다 공세리 마을 비석과 MBN연수원 간판이 있는 우측 마을길로 들어서 고개를 넘어 원덕역으로 달려 전철에 오른다.

 

 

♧♧♧



경강선 이매역 탑승 0003


 

여주역 도착 교동로를 타고 남행 0004 8531 8536



 

청송농장 3거리 샛길 8539 8540


   

가파른 여주대학 뒷산고개 넘어 테니스장 끼고 캠퍼스 안으로 8541  



봉사관-실천관-학생회관 학술정보관 언덕길 지나 8545  0017



  

교문으로 빠져나와 37번 세종로를 타고 남행 0020


 

농협교차로에서 좌회전 주유소 옆 수로를 따르다 0024 8555 59




 

명성로를 만나 좌회전 명성황후 생가로 0031 33


 

명성황후 생가를 돌아보고 나와 8570  8574  0046




명성황후 생가 이곳저곳 1134 36 37 40




 

 

생가 동편 점봉천 둑길을 타고 강천보로 향해 8582 0052 63




 

신진교를 우로 건너 강천보로 1170 8593



 

강천보에서 0075 76

 

싱가포르에서 온 자전거여행 부부와 담소도 하고 0078 8602



 

남한강자전거 길로 들어서 서울 방면으로 고고 0083


 

도중의 금모래은모래 강변 폰 박물관에도 잠시 들려 0087


 

신륵사를 건너다 보며 멋지게 달려 여주대교를 향해 8614 15 




 

여주대교를 건너 0093 97


 

신륵사로 8631 0099 0102 8640




 

신륵사의 가을 0105 106 107 109 112 114 116 118 120


 

신륵사를 떠나 8650 55



 

원호장군 임진왜란 전승비 0130


 

여주 강변과 입암 0137 140



 

잠시 강변을 떠나 영릉으로 0141  0142



 

효종대왕 영릉(寧陵) 먼저 8676  0159



 

세종대왕 영릉(英陵)으로 산길 넘어 0161 162  168  8690



 

세종대왕을 숭모하고 0169 0173 0175




 

남한강으로 다시 나가 여주보로 가니 8696 0181 0182



 

비가오기 시작해 우장을 하고 보를 건너 달려 8699  0183 184 188


 

잠시 쉬고 이내 이포대교에 닿아 0190 191


 

천서리 막국수로 늦은 점심을 0192 8710 8714





 

이포 보-비에 젖고 낭만에 젖으며 0197 200


 

개군레포츠 공원을 휘돌아 하자포교차로에서

양평방향을 달리다 공세리로 들어서 0201 8725 0206 8729






 

공세리 산 고개에 올라서 8730  0212


 

흑천을 건너 0214

  

원덕역에 이르며 라이딩을 종료 8750 07




 

 

산뜻하고 간결한 코스란 생각

이번에도 홍토마의 사진이 보강되니 

코스 안내 영상이 빛을 보게 됐네요. 

언제나 감사!


  ♣♣♣

 

♬♬